발간사
머리말
01 임신초기 초음파검사 I 정상 임신의 초음파소견 1. 임신 6∼10주 2. 임신 11∼14주 II 임신주수의 결정 1. 임신낭 크기 2. 두정둔부길이 III 임신초기 태아기형의 진단 1. 염색체이상의 진단 2. 임신초기 태아의 구조적 기형 진단 참고문헌
02 초기 이상임신과 관련 질환 I 자연유산 1. 자궁 내 보이지 않는 임신낭 2. 배아가 없는 자궁 내 임신낭 3. 자연유산의 난황 4. 자궁 내 배아가 있는 임신낭 5. 자궁내성장지연 6. 융모막하혈종 7. 임신잔류물 II 자궁외임신 1. 유발요인 2. 진단 3. 치료 III 임신성 영양모세포질환 1. 포상기태 2. 임신성 영양모세포종양 참고문헌
03 태아생체계측과 자궁내성장지연 I 태아생체계측 1. 양두정골직경 2. 머리둘레 3. 복부둘레 4. 대퇴골길이 II 자궁내성장지연 1. 정의 2. 원인과 위험인자 3. 예측과 진단 4. 도플러초음파검사 5. 자궁내성장지연이 의심되는 경우의 추적관찰 참고문헌
04 염색체이상 I 염색체이상 선별검사 1. 임신초기 2. 임신중기 II 13번세염색체증후군 III 18번세염색체증후군 IV 다운증후군 참고문헌
05 태아 중추신경계 I 스캔기법과 측정 II 머리모양의 이상 III 뇌실확장과 수두증 IV 선천성 중추신경계기형 1. 무두개증, 뇌노출증, 무뇌아 2. 뇌류 3. 척추이분증 4. 전전뇌증 5. 댄디워커기형 6. 지주막낭종 7. 거대대조 8. 무뇌수두증 9. 분열뇌증 10. 활택뇌증 11. 소두증 12. 뇌량무발생 13. 수도관협착증 14. 맥락막총낭종 15. 두개내출혈 16. 갈렌정맥기형 17. 감염 18. 양막대증후군 19. 중추신경계 종양들 참고문헌
06 태아 안면 및 경부기형 I 안면갈림증 1. 발생학 2. 윗입술과 구개의 초음파소견 3. 구순구개열 4. 단독구개열 5. 정중구순열 6. 비대칭열 II 안구와 안와 1. 두눈가까움증 2. 두눈먼거리증 3. 소안구증 4. 무안구증 5. 백내장 III 안와와 안와 주위의 종괴 1. 누낭류 2. 망막모세포종 IV 안면과 경부 종괴 1. 혈관종 2. 기형종 3. 낭성수활액낭종 4. 갑상선비대 5. 대설증 V 작은턱증 참고문헌
07 태아 흉부 I 태아 폐발달과 정상 해부학 II 흔한 흉부기형 1. 폐저형성증 2. 선천성 낭성선종양기형 3. 선천성 폐분리증 III 드문 흉부기형 1. 기관지낭종 2. 신경장관낭종 3. 선천성 상부기도폐쇄 IV 선천성 횡격막탈장 V 선천성 흉수 참고문헌
08 태아 심장 I 선천성 심장병 1. 심장초음파술기와 표준단면도 2. 정상 초음파소견 3. 비정상 초음파소견 II 심장종양 III 심장리듬 1. 심장리듬을 평가하는 초음파기법 2. 비정상 심장리듬 참고문헌
09 태아 복부 I 발생학 II 정상 태아 복부의 초음파소견 1. 임신초기 2. 임신중기와 말기 III 위장관계의 이상 1. 식도 2. 위장 3. 소장 4. 대장 IV 간담도계의 이상 1. 간 2. 담낭 참고문헌
10 태아 비뇨생식기계 I 정상 해부학 1. 신장 2. 요관 3. 방광 4. 요도 5. 생식기계 6. 부신 II 비뇨기계 발생이상 1. 신장무발생 2. 이소신과 융합기형 III 태아 요로확장 1. 요관신우이행부폐색 2. 요관방광이행부폐색 3. 방광요관역류 4. 방광출구폐색 IV 태아의 낭성 신질환 1. 다낭성 이형성신 2. 상염색체열성 다낭성 신질환 3. 상염색체우성 다낭성 신질환 4. 폐색성 낭성 신장이형성 5. 기타 유전가족성 낭성 이형성 V 기타 요로이상 1. 태아 신종양 2. 부신종괴 3. 태아 생식기이상 참고문헌
11 태아 전복벽 I 전복벽 발생과정과 전복벽기형의 원인 II 주요 전복벽기형 1. 배벽갈림증 2. 배꼽탈출 3. Pentalogy of Cantrell 4. 사지체벽복합기형 5. 방광뒤집힘증과 총배설강뒤집힘증 6. 양막대증후군 III 전복벽기형의 진단 접근 방법 1. 제한막의 존재 2. 결손 부위와 제대 삽입의 관계 3. 탈출된 장기의 종류 4. 탈출된 장관의 특징 5. 다른 선천성 기형의 동반 참고문헌
12 태아 근골격계 I 정상 발달 II 근골격계기형의 분류와 빈도 III 근골격계기형의 초음파검사 1. 사지장골 2. 두개골 3. 흉곽 4. 척추 5. 손, 발 IV 치명적인 근골격계기형 1. 사망임박이형성증 2. 연골무발생증 3. II형 불완전골생성증 4. 사지만곡이형성증 5. 점상연골이형성증 6. 동종접합연골무형성증 7. 짧은 늑골 다지증증후군 V 비치명적이거나 다양한 예후를 보이는 근골격계기형 1. 이종연합연골무형성증 2. 질식성 흉곽이형성증 3. 연골외배엽이형성증 VI 부분적인 근골격계이상 1. Holt-Oram증후군 2. Ectrodactyly 3. 곤봉발 4. 흔들의자바닥모양 발 5. 곱슬발가락 6. 인어증 7. 꼬리쪽퇴행증후군 참고문헌
13 태반, 제대, 양수 I 태반, 제대의 발생과 해부학적 구조 II 태반 위치이상 1. 전치태반 2. 전치혈관 III 태반 부착이상 1. 유착태반 2. 태반조기박리 3. 혈종 IV 태반모양이상 1. 유곽태반 2. 부태반 V 태반종양 1. 융모막혈관종 2. 태반낭종 VI 제대이상 1. 단일제대동맥 VII 양수의 이상 1. 양수과소증 2. 양수과다증 참고문헌
14 다태임신 I 태반 형성 및 융모수 1. 쌍둥이 태반 형성의 발생학 2. 임신초기 융모수와 양막수의 결정 3. 임신중기와 말기의 융모수 및 양막수의 결정 II 다태임신에서 일반적인 태아이상 1. 염색체이상 2. 구조적 이상 3. 쌍둥이 중 남은 한 태아의 사망 4. 성장저하 III 단일융모막쌍둥이에 특이한 합병증 1. 쌍둥이간수혈증후군 2. 무심장쌍둥이 3. 단일양막쌍둥이 4. 결합쌍둥이 참고문헌
15 태아 자기공명영상 I 검사방법 1. 안전도 2. 동의서 3. 환자의 위치 4. 자기공명영상기법 II 태아 자기공명영상 적응증 III 정상 해부학 1. 태아 신경계 2. 태아 안면과 경부 3. 태아 흉부 4. 태아 복부 5. 태아 비뇨기계 6. 태아 근골격계 7. 태반과 산모의 자궁부속기 8. 허상 IV 태아 이상 1. 태아 신경계이상 2. 태아 비신경계이상
참고문헌 한글 찾아보기
영문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