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단 책 소개|
〈치매 진료의 길잡이〉는 1차 진료 환경에서 치매 환자를 가장 먼저 마주하는 의료진을 위한 실전 중심의 참고서입니다. 실제 치매 환자의 99개 사례를 통해 알츠하이머병·혈관성 치매·루이소체 치매 등 다양한 아형을 감별하고, 인지검사 해석·행동심리증상 대응·가족 상담·조기개입 모델·지역사회 연계까지 폭넓게 다룹니다. 복잡한 치매 진료를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치매 초기부터 후기까지의 임상적 판단과 관리 전략을 담은 종합 가이드북입니다.
|저자 소개|
곽경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및 대학원 졸업
경북대학교 박사
(전) 미국 듀크대학교병원 방문교수
(현) 경상북도광역치매센터 센터장
(현) 동국대학교경주병원 진료부원장
(현)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동국대학교경주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병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및 대학원 졸업
서울대학교 정신과학 박사
(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교수/칠곡경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과장
(현) 대구광역치매센터 센터장
(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회원/고시위원회 위원
(현) 대한노인정신의학회 정회원
(현)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평이사
(현) 한국노년신경정신약물학회 정책이사
김봉조
(전) 경상국립대학교 병원 기획조정실장
(현) 경상국립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현) 경상남도 지방정신보건사업지원단 단장
(현) 경상남도 광역치매센터 센터장
(현) 경상국립대학교 기획처장
이승훈
순쳔향대학교 의과대학 및 대학원 석사 졸업
서울대학교 정신과학 박사
(전) 건강보험공단 전문연구위원
(전) 종로구 치매센터 부센터장
(전) 부천시립노인전문병원 치매센터장/진료부장
(현) 명지병원 임상부교수/백세총명치매관리 지원센터장
(현) 경기도광역치매센터 센터장
추일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박사
(전)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학원 방문교수
(전) 조선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과장
(전) 조선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위원장
(전) 광주광역시 광역치매센터 센터장
(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의무이사
(현)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 교수
(현) 대한노인정신의학회 간행이사
(현)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위원
한명일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및 대학원 졸업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재직
(전) 전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공의 수련
(전) 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노인정신의학 전임의
(전) 전라북도 마음사랑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육수련부장
(현)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현) 전라북도 광역치매센터 센터장
(현) 대한노인정신의학회 법제이사
(현) 인지중재치료학회 감사
(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전북지회 지회장
(현) 전북 노인정신의학회 회장
허 담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석사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 박사
이대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조교수 재직
(전) 이대목동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전공의 수련
(전) 이대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노인정신의학 전임의 과정 수료
(현) 서울특별시 강서구 치매안심센터 센터장
|책 소개|
<치매 진료의 길잡이–1차 진료 의사를 위한 참고서>는 치매 진단과 관리의 최전선에 있는 1차 진료 의사, 간호사, 지역사회 의료·복지 전문가를 위해 만들어진 실전형 치매 임상서입니다.
이 책은 홍콩의 조기 개입 서비스와 일차의료–사회복지 통합 모델에서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총 99개의 실제 증례(case)를 통해 치매 환자가 보여주는 다양한 임상 양상을 세밀하게 제시합니다. 사례들은 전형적 알츠하이머병에서 비전형 치매, 혈관성 치매, 루이소체 치매, 전두측두엽 치매, 경도인지장애(MCI) 감별, 우울증과 가성치매, 행동·심리 증상(BPSD)까지 폭넓게 포함합니다.
초기 진단에서부터 병력 청취, 인지검사(GPCOG, 시계그리기, MMSE 등), 일상생활능력(IADL) 평가, 위험요인 파악, 감별진단 전략, 신경영상 필요 여부 판단, 치료제 선택(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메만틴), 인지중재치료, 보호자 지원, 사전의료계획까지 치매 진료 과정의 전 단계를 일차의료 관점에서 실제적으로 안내합니다.
또한 영국, 캐나다, 홍콩의 일차의료 기반 치매관리 모델을 소개하며, 문지기 역할을 수행하는 1차 진료팀이 어떻게 지역사회 서비스·전문의·사회복지와 협력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운영 방식과 시사점을 제시합니다.
더불어 조호자 스트레스, 치매 친화적 지역사회 조성, 치매 고지, 치매 예방과 같은 공중보건적 접근까지 포함하여, 단순 임상 가이드를 넘어 치매 관리의 큰 그림을 제시합니다.
이 책은 복잡한 치매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1차 의료진에게 임상적 판단의 기준점을 제공하며, 치매 환자와 가족이 더 나은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실질적 도구이자 교육서로 활용될 것입니다.
제 1 장 배경: 치매의 일차 의료
1.1 치매 케어에서 업무 전환 또는 업무 분담의 개념과 실제
1.2 치매의 일차의료 모델 예시들
1.3 치매 개요: 평가, 진단 및 치료
1.4 통합 의료 및 사회 복지 모델의 근거와 증거
1.5 15년간의 조기 개입 서비스에서 얻은 교훈
제 2 장 전형적 알츠하이머병
2.1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주는 사례들
사례 001 뇌 손상 후 기억력 저하
사례 002 식료품 반복 구매
사례 003 지연 회상
사례 004 제 자녀가 몇 명인가요?
사례 005 도구적 일상생활 활동 손상
사례 006 잊어버린 집 주소
사례 007 잊혀진 아이들의 이름
사례 008 반복되는 질문
사례 009 내 아내는 어디 있나요?
사례 010 뇌졸중 후 인지 기능 저하
사례 011 손주들이 왜 방문하지 않나요?
사례 012 이 방은 어느 방인가요?
사례 013 집 찾기에 도움이 필요함
사례 014 샤워 알림
사례 015 출입문 자물쇠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나요?
2.2 인지, 기능 및 임상 평가 결과 이해하기
사례 016 이 아이는 누구의 아이입니까?
사례 017 시간 및 장소 지남력
사례 018 시계를 그릴 수 없음
사례 019 시계 그리기 검사에서 집착 오류(보속증, perseveration error, 인내 오류, 반복적 에러)
사례 020 목욕 후 옷 입는 것을 잊음
사례 021 적절한 옷 선택하기
사례 022 시간 숫자가 뒤바뀌게 적혀진 시계 그리기
사례 023 단추를 풀고 셔츠 입기
사례 024 숫자를 위한 라인
사례 025 어느 단계?
사례 026 CDR 점수 1점
사례 027 추첨 거부
사례 028 학교에 가 본 적 없다
사례 029 인지문제 보고와 임상 평가 결과 비교
사례 030 독립적인 일상생활 저하의 이유
2.3 검사 대상 표시
사례 031 자기 관리의 무감각증
사례 032 빈혈이 동반된 경우
사례 033 소혈관 질환의 병력
사례 034 소혈관 허혈의 CT 증거
사례 035 동반된 우울증
사례 036 당뇨병, 우울증, 치매
사례 037 심방세동 환자의 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AChEI) 사용
사례 038 뇌졸중 환자에서 알츠하이머병
사례 039 중증 외상성 뇌 손상 병력
사례 040 뇌 영상검사 거부
사례 041 고층에서 뛰어내리고 싶은 자살 사고
사례 042 통증 및 편측 경직을 동반한 기억력 저하
사례 043 급속 발현에 대한 자각
사례 044 무가치감을 동반한 기억력 저하
사례 045 양측 백내장(bilateral cataract)을 동반
사례 046 치료 반응 평가
2.4 이상 행동 관련 증상호소
사례 047 망상을 동반한 인지 저하
사례 048 길을 잃는 증상(getting lost)을 동반
사례 049 “돈을 가져갔다”는 망상적 사고
사례 050 “내가 그 돈을 어떻게 썼지?”: 재정 관리 문제
사례 051 한밤중 식사를 묻는 행동
사례 052 10년 전 교통사고 사례
사례 053 아내를 바닥에 밀치다
사례 054 냄새나는 옷
사례 055 화재 위험
사례 056 손자 데리러 가는 것을 잊음
사례 057 혼자 살면서 길을 잃다
사례 058 반복 목욕
사례 059 기능 저하 및 치매의 부인
사례 060 이전 직업은 무엇인가요?
사례 061 위생 악화
사례 062 우울증을 앓고 있는 아들을 걱정하는 사례
2.5 정상 노화, 경도 인지 장애 또는 경증 치매?
사례 063 기억 등록은 온전한 사례
사례 064 인지 취약성
사례 065 퇴원 후 기억력 문제
사례 066 일상 생활 활동은 잘 유지되는 사례
사례 067 중증 청력 장애
사례 068 경과 관찰? 아니면 치료 시작?
사례 069 5mg 아니면 10mg?
사례 070 주관적 인지 장애
사례 071 사회적 고립 증가
사례 072 약물 복용 알림이 필요한 91세 노인
사례 073 독립적 IADL
사례 074 현관 문에 걸려있는 열쇠
사례 075 자각 증상은 호소하는 독거노인
사례 076 장소에 대한 지남력 장애?
사례 077 훈련 효과?
사례 078 우울증 동반과 무릎 통증
사례 079 비타민 B12 결핍
사례 080 MMSE ‘합격’
제 3 장 비전형 알츠하이머병, 기타 치매 및 감별 진단
3.1 뇌영상 검사 및 추가 평가가 필요한 경우
사례 081 뇌졸중일 수도 있을까?
사례 082 단것을 좋아하는 사람
사례 083 뇌졸중 후 인지 장애의 오랜 병력
사례 084 단어 찾기의 어려움
사례 085 양호한 시공간 능력
3.2 가성 치매
사례 086 뚜렷한 우울증과 치매가 의심되는 상태
사례 087 제 아들은 신경 쓰지 않아요
사례 088 음주 문제와 쿠에티아핀
사례 089 자살 충동과 분노 발작
사례 090 입원 후 악화
사례 091 반시계 방향 시계
3.3 알츠하이머 치매 아니면 기타 치매? 의뢰가 필요한 경우
사례 092 3개월 만에 기억력 감소
사례 093 개인 위생에 대한 무관심
사례 094 자면서 아내를 때림
사례 095 사망한 친척을 봄
사례 096 혈관성인가 비타민인가?
사례 097 공격성이 주된 호소일 때
사례 098 MRI상 연조직 종괴
사례 099 TV를 향해 소리 지름
제 4 장 조기 개입 서비스에서 유용한 도구와 자원
4.1 병력 조사를 용이하게 하는 양식 예시
4.2 치매가 의심되는 경우 이학적 및 진단 검사 체크리스트
4.3 조기 개입 서비스의 인지 및 기능 보고서 예시
4.4 조호자 및 치매가 의심되는 사람들이 보고하는 일반적인 증상
4.5 치매 진단 및 관리 설명을 위한 인포그래픽 및 교육 자료
제 5 장 핵심 요점 및 추가 참고자료
5.1 사전 의료 계획
5.2 조호자 스트레스 및 지원
5.3 치매 진단 및 고지
5.4 치매 관리와 연관된 문제
5.5 치매 친화적 지역사회 조성과 치매 예방
Glossary
| 구분 | 13시 이전 | 13시 이후 |
|---|---|---|
| 군자도서 | 당일출고 | 1일 추가 |
| 타사도서 | 1일 ~ 2일 추가 | 2일 ~ 3일 추가 |
고객님께서 급히 필요하신 상품은 별도로 나누어 주문하시면 수령시간이 절약됩니다.
국내에서 재고를 보유한 업체가 없는 경우 해외주문을 해야 하는 상황이 생깁니다.
이 경우 4~5주 안에 공급이 가능하며 현지 출판사 사정에 따라 구입이 어려운 경우 2~3주 안에 공지해 드립니다.
# 재고 유무는 주문 전 사이트 상에서 배송 안내 문구로 구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전화 문의 주시면 거래처를 통해 다시 한번 국내재고를 확인해 드립니다.
전자상거래에 의한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거 반품 가능 기간내에는 반품을 요청하실 수 있습니다.
(10881)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338 (서패동 474-1) 군자출판사빌딩 4층